이미지 출처 : google.com

 

수원이 폭우 속에 치뤄진 전북과의 홈경기에서 1:3 패배를 기록했다. 특정 선수와 관련된 이슈가 존재했던 양팀 간의 대결이었기에 경기 외적으로도 화제를 모았던 두팀 간의 대결은, 홈팀이 늦은 시간 1골을 만회하기는 했지만 먼저 내준 3골의 갭을 극복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끝나게 되었다. 또한 결과라는 관점에서 경기를 얘기하기에 앞서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수원은 최근 경기들에서 보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상대가 자신들에게 '공을 가지게 했을 경우'에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을 계속해서 드러내는 모습이었다.

 

그림1 : 수원은 공격 국면에서 1.3.5.2, 전북은 수비 국면에서 1.4.4.2의 형태로 경기에 임했다

 

경기에서 전북은 기본적으로 수비 국면에서 1.4.4.2의 형태를 갖춰 경기에 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수원은 지난 경기들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1.3.5.2 시스템으로 공격 국면에서 공격을 시도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수원이 가장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던 광주와의 개막전과 거의 동일한 조건이 갖춰진 경기였지만, 실질적으로 경기 양상은 광주와의 개막전과는 상당히 큰 차이가 있는 모습이었다. 

 

이는 광주와 전북이 같은 1.4.4.2 형태를 갖추고 수비 국면에 임했다고 할지라도, 양쪽 윙이 어떤식으로 수비에 임했느냐에서 차이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광주의 경우에는 양쪽 윙들이 반라인 정도 전진한 상태로 수원의 좌우 센터백을 압박하기 위한 포지셔닝을 취했고, 이로 인해서 수원의 좌우센터백들은 다른 무언가를 할 필요 없이 공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광주의 좌우 윙을 자신에게 고정(Fijación para dividir)시켜 끌어내는 것이 가능했다. 

 

그림2 : 광주의 윙들은 자신들의 중앙미드필더들 보다 반라인 정도 전진해서 수원의 좌우센터백에 대한 압박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러한 광주의 수비형태는 수원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시스템적인 특징을 자연스럽게 살리는 것이 가능하게끔 만들어주었다. 특히 인사이드하프 포지션에 위치한 고승범과 김민우, 좌우 윙백이었던 이기제와 김태환을 통해서 수원은 큰 이점을 가져갈 수 있었다. 광주의 윙들이 전진함으로 인해서 생기는 윙과 중앙 미드필더 사이의 공간을 인사이드하프였던 고승범과 김민우가 위치할 수 있었고, 반면에 좌우 윙백이었던 이기제와 김태환은 광주의 윙이 아닌 광주의 풀백과 1대1 상황을 가져가며 지속적으로 '윙으로써' 플레이 할 수 있는 상황이 연출이 되었던 것이다.

 

그림3: 광주와의 경기에서 수원이 인사이드하프와 윙백을 통해서 가져갈 수 있었던 이점.

 

이에 반해 전북의 경우에는 '좌우윙이 중앙 미드필더와 동일선상을 유지하며' 블록을 유지하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광주와는 차이를 드러냈다. 광주의 경우에는 윙이 전진한 상태로 수비국면에 임했기 때문에 수원의 좌우 센터백들이 공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이들을 끌어내는 것이 가능했지만, 전북의 경우에는 윙들이 중앙 미드필더와 동일선상에 위치해서 블록을 형성했기에 수원의 좌우 센터백들은 공을 가졌을 때 드리블을 통해서 이들을 끌어내야만 했다(Conducción para fijar). 기본적으로는 3백과 수비형 미드필더가 전북의 1선에 대해서 가진 3v2+1의 수적 우위와 위치적 우위를 활용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좌우 센터백들은 공을 가졌을 때 공간에 대한 드리블을 통해서 윙백과 함께 상대 윙에 대해서 2v1의 수적 우위를 가져갈 수 있어야만 했다. 그리고 그렇게 해야만 이후 상황에서 좌우 윙백들이 상대 풀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1v1 상황을 형성함으로써 이들을 끌어낼 수 있었고, 만약 상대 윙이 윙백을 막았을 경우에는 인사이드하프의 포지셔닝을 통해서 하프스페이스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동영상1 : 좌우센터백이 드리블을 통해 윙을 자신에게 끌어들였을 경우 가져갈 수 있던 선택지
동영상2 : 좌우센터백이 드리블을 해서 전진했을 때 윙이 동료 윙백을 막는다면 하프스페이스 채널이 열리게 된다.

 

반면 경기 중 수원이 보여준 모습은 이것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었다. 가장 근본적으로는 좌우 센터백과 리베로 간의 간격이 너무 멀었기에 공의 순환이 빠르게 이뤄질 수 없었다. 좌우 센터백의 위치가 사실상 4백에서 풀백들이 위치하는 공간에 가까웠기에 공의 순환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사이드 채널까지 밀려나온 상태에서 공을 가졌기에 상대 윙에게 위에서 본 것과 같은 양자택일의 상황을 강요하는 것이 불가능 했다. 좌우 센터백이 상대 윙에게 해당 상황을 강요하기 위해서는 경기장을 가로폭으로 보았을 때 상대 윙을 기준으로 동일한 가로폭을 확보한 상태로 전진해 상대 윙을 정면으로 마주보아야 한다. 하지만 이번 경기에서 전북의 윙들은 수원의 좌우센터백이 스스로 사이드에 몰린 상태에서 공을 가졌기에 그저 서서 위치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유효한 수비를 가져갈 수 있었고, 이는 특히 왼쪽 센터백이었던 박대원 쪽에서 두드러졌다.

 

그림4 : 사실상 풀백의 공간에서 플레이 했던 수원의 좌우 센터백

 

그림5~7 : 직관시 촬영한 경기 장면. 수원의 3백, 특히 좌우센터백의 포지셔닝을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다.

반대로 오른쪽의 경우에는 센터백이었던 장호익이 포지셔닝이라는 관점에서는 왼쪽 센터백이었던 박대원에 비해서 좀 더 적절한 좌우폭을 확보하며 공을 가지는 빈도가 높았다. 하지만 이후 과정에서는 동일하게 어떠한 우위도 살려서 나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특히 오른쪽 인사이드하프였던 고승범의 포지셔닝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시즌 경기들을 리뷰하면서도 여러번 언급했지만 1.3.5.2 시스템에서 인사이드하프의 포지셔닝은 항상 상대 미드필더 라인의 등 뒤에서 이뤄져야 한다. 순간적으로 나타나서 다른 공간에서 공을 받는 경우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선수가 점해야 하는 공간은 상대 미드필더 라인의 등 뒤가 되어야 한다.

 

반면 고승범은 이전에 있었던 경기들과 마찬가지로 전북과의 경기에서도 해당 공간에 포지셔닝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측면으로 빠져나와 공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로 인해서 수원은 오른쪽 측면에서도 수적 우위를 살리지 못한채 수적 동위만을 반복하는 모습이었다.

 

 

동영상 3 : 상대 미드필더 라인의 등 뒤가 아닌 오른쪽 측면으로 나와 사실상 풀백처럼 공을 받아 플레이 했던 고승범

 

그림8~9 : 수원의 우측 공격 전개 형태. 센터백이 드리블을 통해서 윙을 끌어들이는 대신, 고승범이 측면으로 나와 공을 받으면서 2v2 수적 동위만을 반복한다.

 

그림10 : 후반 51분. 수원이 경기 중 유일하게 센터백의 드리블 이후 전북의 미드필더라인을 공략하며 하프스페이스를 활용한 상황.

Posted by 장코치
:

이미지 출처 : google.com

지난 일요일 수원이 홈에서 강원을 상대로 1대1 무승부를 거두며 승점 1점을 획득하는 것에 만족해야했다. 지난 주중에 있었던 수원FC와의 더비 경기에 이어서 다시 한번 승점 1점을 획득하는 것에 만족해야 했던 수원이었는데, 경기 중 발생했던 상황을 살펴보자면 수원FC와의 더비 경기에서 볼 수 있었던 5백을 상대로 했을 때의 문제점이 그대로 다시 한번 노출되는 모습이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보자면 수원FC의 경우에는 1.5.4.1, 반면에 강원의 경우에는 1.5.3.2의 형태로 수비국면을 가져갔기에 차이가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개막전이었던 광주전과 비교했을 때 4백을 상대할 때와 다르게 5백을 상대로 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이라는 측면에서는 거의 동일한 양상이 벌어졌다고 볼 수 있었다. 

 

지난 수원FC와의 경기를 복기하면서 언급했던 것처럼 5백의 경우에는 4백에 비해서 백라인이 한명 더 많은 숫자를 안고 구성되기 때문에 68m의 좌우폭을 커버하는데 있어서 이점이 있다. 특히 현재 수원의 경우처럼 공격 국면에서 1.3.5.2 (1.3.1-2.4) 시스템을 활용하는 팀을 상대로 할 경우에는 좌우폭을 확보하고 있는 윙백에 대해서 5백의 윙백이 이에 대해 1x1의 형태로 대인마크 형태를 가져가면 되기 때문에 수비하기가 확실히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공을 가진 팀의 입장에서는 결국 상대가 수비하기가 '용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득점을 가능케 하는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고, 결국에는 그것이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수원이 어떤식으로 강원이 '수비하기에 용이한 상황'을 연출해주었는지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그림 1 : 축구에서 실질적으로 공을 가지고 플레이 하게 되는 '위치',혹은 '공간'으로서의 15개 포지션

 

실질적으로 선수가 공을 가지고 플레이 하게 되는 '위치', 혹은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림1에서 Medio centro와 Interior, 즉 홀딩 미드필더와 인사이드 하프 포지션에 위치하게 되는 선수는 기본적으로 상대 1선과 2선의 '등 뒤'에 위치함으로써 상대 1선과 2선에 대해서 '위치적 우위'(Superioridad posicional)를 점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역삼각의 형태로 미드필더 라인을 구성하는 1.4.3.3, 1.3.5.2 두 시스템에서 굉장히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2 : 강원과의 경기에서 수원이 공을 가졌을 때 수원 미드필더들이 가져가야 했던 포지셔닝

이를 1.5.3.2의 형태로 수비 국면을 가져갔던 강원을 상대로 재현 했을 때는 그림2와 같은 형태의 포지셔닝이 이뤄지게 되고 그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져 강원의 1선의 등 뒤에서 위치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은 홀딩미드필더인 최성근이고, 해당 포지셔닝을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최성근은 강원 1선에게 '양자택일'의 선택을 강요할 수 있다. 즉 수원의 3백에게 공이 있을 때 강원 1선이 자신들의 등 뒤에 있는 최성근을 수비하기 위해서 눈 앞에 공을 가진 선수를 자유롭게 둘 것인지, 반대로 자신들의 눈 앞에 있는 공을 가진 선수에 대한 수비를 펼치기 위해 자신들의 등 뒤에 있는 최성근을 자유롭게 둘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강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강원 1선이 전자를 택했을 경우에는 후자의 옵션이, 반대로 후자를 택했을 경우에는 전자의 옵션이 수원의 입장에서는 강원의 1선을 공략할 수 있는 옵션으로써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양자택일 선택의 강요는 인사이드하프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앞서 언급한 상황을 거쳐 수원이 공을 가지고 강원의 1선을 공략하는 것에 성공했을 때, 인사이드하프인 고승범과 김민우는 홀딩미드필더였던 최성근이 강원 1선에 대해서 그랬던 것처럼 한국영-김동현-김대우로 구성되는 강원 2선의 '등 뒤'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포지셔닝을 고수함으로써 두명의 인사이드하프인 고승범과 김민우는 강원 2선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 즉 강원의 3선과 2선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강원 2선은 강원1선이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눈 앞에 있는 공을 가진 선수를 막음으로써 등 뒤의 공략을 허용하느냐, 혹은 반대로 등 뒤를 막음으로써 공을 가진 선수를 허용하느냐의 선택이 강요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공이 2선을 넘어서서 강원의 3선, 즉 백라인을 직면하게 되었을 경우에도 위와 같은 인사이드하프의 포지셔닝은 굉장히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1.3.5.2 시스템의 경우에는 실질적인 선수 배치가 1.3.1-2.4가 되기 때문에 2에 해당하는 인사이드하프의 가세가 없을 경우에는 최전방에 위치한 공격수와 윙백에 대해서 상대 5백이 5x4의 수적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인사이드하프가 지속적으로 상대 2선의 등 뒤에 위치했을 경우에는 상대 2선의 수비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상태로 상대 5백에 대해서 수적우위를 확보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영상1 : 인사이드하프 포지셔닝을 통한 1.5.3.2 공략의 긍정적인 예시

이에 반해 강원과의 경기에서 나타난 수원 미드필더들의 포지셔닝은 강원의 1선과 2선에 대한 이점을 가져가기에는 다소 부적절한 형태였다 . 기본적으로 왼쪽 인사이드하프 포지션에 있었던 김민우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강원의 2선의 등 뒤에 위치하면서 공이 왼쪽 윙백이었던 이기제에게 전개 되었을 경우, 영상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공을 가진 이기제를 막는 김수범의 '등 뒤'를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그림3 : 실제 경기에서 나타난 수원 미드필더들의 포지셔닝

반면 홀딩미드필더였던 최성근과 오른쪽 인사이드하프였던 고승범의 경우에는 그 포지셔닝이 강원의 1선과 2선을 공략하기에는 다소 부적절한 형태로 이뤄졌다. 강원의 1선의 등 뒤에서 위치적인 우위를 확보해야 했던 최성근은 강원 1선과 동일 선상, 혹은 강원 1선보다 밑으로 내려가 공을 받는 경우가 비교적 잦았다. 또한 오른쪽 인사이드하프였던 고승범 또한 왼쪽 인사이드하프였던 김민우와는 다르게 지속적으로 강원 2선의 등 뒤가 아닌 강원의 2선 시야, 특히 강원의 왼쪽 인사이드하프였던 한국영의 시야 안에서 움직임으로써 지속적으로 한국영을 등진 상태로 공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림4,5 : 경기에서 고승범과 최성근의 포지셔닝은 경기장을 세로로 보았을 때 상대 라인에 대해서 한칸씩 밀려난 형태로 이뤄졌다.

 

이러한 고승범과 최성근의 포지셔닝은 경기장을 가로로 보고 절반으로 나눴을 때 수원의 공격이 오른쪽으로 전개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공의 소유권을 잃어버리게 하는 상황을 연출했다. 특히 그림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우측 윙백이었던 김태환이 상대 윙백이었던 윤석영의 대인방어를 의식해 오른쪽 센터백이었던 장호익이 공을 가졌을 때 강원의 2선보다 낮은 위치까지 공을 받으러 움직이는 상황에서 이는 더욱 부각되었다. 김태환이 윤석영을 비교적 낮은 위치까지 끌어냈을 경우 공간이 발생하는 곳은 강원의 왼쪽 윙백이었던 윤석영의 등 뒤였지만, 이를 공략해야할 고승범은 지속적으로 한국영의 시야 안에 있었기 때문에 강원의 왼쪽 인사이드하프였던 한국영과 왼쪽 센터백이었던 김영빈은 자신의 눈 앞에 보이는 시야에 대해서만 수비하면 되는 '수비하기에 용이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었다.

 

영상2 : 고승범의 포지셔닝으로 인해 강원의 한국영과 김영빈은 수비국면에서 굉장히 '편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었다.

 

영상3 : 수원FC와의 경기에서도 수원은 이미 같은 문제를 드러냈던 바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원의 미드필더 포지셔닝 문제는 이미 지난 수원FC와의 경기에서도 동일한 형태로 문제를 드러냈던 바 있다.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수원FC의 경우에는 1.5.4.1, 강원의 경우에는 1.5.3.2의 형태로 수비를 가져가면서 디테일에서는 차이가 존재하기는 했지만 당시에도 수원은 홀딩미드필더였던 한석종과 오른쪽 인사이드하프였던 고승범의 포지셔닝을 통해서 스스로 문제를 자초했던 바 있다. 이렇게 동일한 문제가 반복 되었기 때문에 수원은 수원FC와의 경기에 이어서 강원과의 경기에서도 지공 상황에서 문제를 겪을 수 밖에 없었고, 이러한 부분에서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5백을 기반으로 수비 국면을 가져가는 팀들을 상대로는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 예상이 된다. 

Posted by 장코치
: